데이트 폭력과 병든 사랑
상태바
데이트 폭력과 병든 사랑
  • 광진투데이
  • 승인 2017.02.15 1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석 교수/건국대학교 융합인재학부
김 석 교수/건국대학교 융합인재학부

사회가 개입하지 않고 개인들이 풀어야 할 문제로 간주하면서 점점 심각한 범죄가 되고 있는 것이 데이트 폭력이다. 

데이트 폭력은 문자 그대로 연인 사이에 벌어지는 폭행이나 강간 혹은 물리적, 심적 괴롭힘을 말한다. 연인들이 다투다 상대에게 과도한 폭력을 가해도 사랑싸움이라 생각하고 못 본 척 지나는 경우가 많다. 

또 폭행의 피해자가 여러 이유로 경찰에 신고하지 않거나, 막상 신고를 하더라도 사법당국이 이를 제대로 처벌 하지 않기도 한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2016년 데이트 폭력으로 형사 입건된 8367건 중 구속 사례는 449건에 불과했다. 데이트 폭력에 관해서는 우리 사회가 여전히 관대하다. 데이트 폭력을 있을 수 있는 갈등처럼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매달 7명 정도가 데이트 폭력으로 사망한다고 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무엇보다 데이트 폭력의 문제는 반복되는 비율이 높고, 초기에 막지 않으면 살인, 상해, 감금 등 양상이 점점 흉포화 되는 데 있다. 

지난 1월9일 서울 논현동의 한 빌라 주차장에서 30대 여성이 헤어진 남자 친구에게 두개골이 골절되고 온몸이 피투성이가 되도록 맞아 숨지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들은 1년쯤 동거하다 결별했는데 남자가 찾아와 다시 결합을 요구하다 거절당하자 폭력을 휘두른 것이다. 

상대를 소유하려는 욕망을 사랑이라 착각하면서 이를 거부한다고 죽기까지 때리는 행동을 사랑싸움이라 할 수 있을까? 이 사례에서 보듯 데이트 폭력의 심각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심지어 대학에서도 데이트 폭력이 발생한다는 보도가 심심찮게 있지만 예방책 마련이나 특별 교육은 거의 없다.

이제 데이트 폭력을 뿌리 뽑고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온 사회가 노력할 때다. 
그런데 제도적 보호책 마련도 중요하지만 사랑에 대한 생각부터 바꿔야 한다. 연인들 사이에 폭력이나 물리적 강제력이 생기는 것은 사랑에 대한 왜곡된 관념 때문에 발생한다. 보통 둘이 만나 하나가 되는 합일의 상태를 사랑의 이상으로 생각한다. 

성경은 사람이 부모를 떠나 둘이 한 몸이 되는 것을 결혼의 본질로 본다. 또 철학자 플라톤은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 『향연』에서 에로스란 분리된 것을 하나로 모으는 힘이라고 예찬하기도 했다. 아리스토파네스의 양성인간 신화는 에로스에 대한 이런 전통적 관념을 잘 보여준다. 

신화에 따르면 원래 인간은 남녀가 한 몸을 이룬 완벽한 공 모양의 존재였다. 그러다 신들에게 도전할까 두려워한 제우스가 인간을 반으로 잘라 분리시켰다. 이때부터 인간은 잃어버린 반쪽을 찾아 헤매며 반쪽을 찾으면 원래대로 한 몸을 이루려는 욕망 에로스가 생긴다는 게 아리스토파네스의 이야기가 주는 가르침이다. 

양성인간 신화나 성경이 보여주듯 사랑이란 둘이 하나가 되어 부족함을 채우고 서로 힘을 합해 완벽해지는 것으로 생각한다. 혼자서는 부족하지만 둘이 있으면 강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에로스의 통합하려는 힘은 위험을 내포한다. 에로스는 상대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기 보다는 자신의 결핍을 채우는 도구로 전락시키면서 파괴시킬 위험이 있다. 

부부들은 경험하지만 아무리 오래 살고 서로 사랑하더라도 두 사람의 차이를 완벽하게 극복하고 제거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성격, 욕망, 가치관, 기호 등이 다르기에 인간은 절대 같아질 수 없다. 
하지만 맹목적인 에로스에 끌리다 보면 상대를 그 자체로 인정하지 못하고 무조건 하나가 될 것을 강요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폭력적이 된다.  

이것은 남녀의 사랑 뿐 아니라 부모자식 같은 자연적인 혈육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무조건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가 되려다 보면 오히려 상대를 억압하고 내가 생각하는 행복을 강요하는데 이것은 폭력이다. 설사 사랑이 좋은 목적을 지향하더라도 하나 됨의 이상을 지향하는 에로스적 정념은 서로의 존재에 대해서는 위협이다. 

진정한 사랑을 위해서는 오히려 하나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해야 한다. 
현대 철학자 중에서 프랑스의 알랭 바디우는 일자를 지향하는 에로스 사랑에 대해 비판하면서 사랑이란 둘을 둘로 등장시키는 무대이자 존재의 다수성을 발견하게 해주는 진리라고 말한다. 그는 사랑을 둘이 엇박자로 힘겹게 걸어가는 절뚝발이 걸음에 비유하면서 하나가 되고, 희생을 강요하는 이상화된 사랑의 논리를 비판한다. 

사랑은 두 존재를 두 존재로 남기기 위한 힘겨운 노력이다. 데이트 폭력이나 연인 사이의 갈등은 둘의 간격을 인위적으로 좁히려하기 때문에 시작된다. 거꾸로 둘의 차이를 존중하는 것이 사랑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사랑에 대한 바른 가치관 정립 못지않게 데이트 폭력을 범죄로 단죄하면서 심각하게 다루고 방지하려는 사회적 노력도 절실하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데이트 폭력을 규정하거나 처벌하는 특별 법률이 없다. 19대 국회에서 연관된 법을 만들려고 했지만 불발된 뒤로 공론화가 되지 않고 있다. 

부부 사이 가정 폭력이나 아동 학대에 대해서 사회가 개입하는 것을 당연시 하는 추세이다. 마찬가지로 데이트 폭력에 대해서도 사회적 민감성을 높이면서 이것의 폐해를 막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폭력에 대한 관용이나 인정은 만성적이고 점점 심한 폭력의 구조화와 정당화를 낳는다. 데이트 폭력은 병든 사랑이며, 사랑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범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