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실핏줄 골목길 활력 불어넣는다 "재생 본격화"
상태바
도심 실핏줄 골목길 활력 불어넣는다 "재생 본격화"
  • 서울로컬뉴스
  • 승인 2018.02.08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악‧낙후한 골목길 일‧삶‧놀이 어우러진 곳으로 재생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

도시개발에서 소외된 골목길 주변 주거지 소규모 재생… 용산‧성북 2곳 시범사업
생활환경 개선, 빈집 활용 골목 마당․카페 조성, 담장 낮추기 등 주민주도 추진

서울 도심에는 600년이라는 긴 시간을 거치며 자생적으로 생겨난 실핏줄 같은 좁은 골목길이 많다. 한때 주민들의 사랑방이자 아이들의 놀이터로서 단순한 ‘길’이 아닌 자연지형과 역사, 문화를 담고 있는 생활공간의 일부였지만 개발의 시대를 거치면서 대규모 아파트와 자동차 공간으로 자리를 내주며 사라진 경우가 많았다. 남아있는 골목길도 열악하고 낙후된 곳이 많다.

서울시가 도시의 역사와 함께해온 역사문화유산이자 삶의 공간인 골목길을 일‧삶‧놀이가 어우러진 곳으로 재생하는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을 올해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핵심은 골목길의 ▴역사문화적 숨길을 보존하고 ▴낙후된 환경을 개선하며 ▴공동체를 되살리는 것. 예컨대, 바닥이 파손되고 조명이 없어 어둡고 위험했던 골목길 주변 생활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개선하고, 일부 폐가를 활용해 카페‧식당, 마당 등으로 조성해 골목 활성화와 일자리 공간으로 활용한다. 아울러, 주민 주도로 담장 낮추기, 골목 마당 공유, 내 집 수선하기 같은 사업도 함께 병행 추진 한다.

서울시는 작년 8월에 착수한 「서울형 골목길 재생 기본계획」 용역을 3월경에 마무리하고 오는 5월까지는 골목길 재생사업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기본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골목길의 현황부터 정의, 재생사업 추진대상과 방향 등이 담기게 된다. 6월엔 자치구 공모를 통해 사업대상지를 추가 선정하고 재생사업을 본격 확대 추진한다.

시는 기본계획 수립과 병행해 용산구와 성북구 2곳 골목길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해 주민 주도로 사업을 진행한다. 각 지역별로 주민, 자치구, 지역 전문가와 함께 현장 주민설명회, 심층면접, 객관적인 실태분석 등을 거쳐 5월 중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연내 사업에 착수한다.

용산구 후암동 두텁바위로40길(길이 430m, 일제강점기 구릉지형)은 남산과 인접해 있고 주거환경개선지구 사이 경사로에 마치 협곡처럼 위치해 있는 곳으로, 폭 1~1.5m의 좁은 골목길이다. 시는 지역 내 활터골 경로당을 중심으로 골목전망대, 마을텃밭 등을 만들어 공동체 형성과 일자리 창출을 유도한다는 목표다.

성북구 성북동 선잠로2길(길이 800m, 폭 0.6~2m)은 조선시대 구릉지에 자연적으로 발생한 골목이다. 작년 주택재개발구역 해제지역으로 빈집이 10여 가옥에 달하며, 집수선과 리모델링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허물어져 가는 높은 담장이 위협적이고 좋은 경관을 막고 있어 담장을 낮추거나 막다른 골목 3~4채 가옥이 대문을 열고 골목을 마당으로 함께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서울시는 기존 도시재생사업이 비교적 대규모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다 보니 주민들의 직접적인 참여가 어렵고 재생사업에서 소외됐던 지역은 그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만큼,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을 병행해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아울러 제도개선을 포함한 ‘골목길 재생 활성화 방안 마련 심포지엄’도 오는 3월 개최한다. 그동안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골목길이 자동차 중심으로 사라지거나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전락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동차가 다니지 못하는 너비 4m 미만의 길로서 대지에 접한 보행길’에서도 건축행위가 가능하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 제시됨에 따라 법령개선 등 골목길 재생 활성화 방안을 위한 다양한 논의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현재 서울에 남아있는 폭 4m 미만의 골목길은 대부분 도시개발에서 제외된 지역의 사유 골목으로 그동안 최소한의 행정개입만 이루어져 매우 위험하고 열악한 주거 환경을 갖고 있다”며 “골목길이 장터이자 놀이터이고 쉼터이자 주거공간인 모로코의 도시 페스처럼 서울의 골목길도 자연지형, 역사와 문화, 시민의 흥미로운 삶을 담아내는 공간이 되도록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이 촉매제 역할을 적극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